HOME > ACC프로젝트 > 레지던스리좀
[프로필]
2007-2008 등조형예술국가학위, 에꼴 수페리에 데 보자르 몽펠리에
2005-2006 조형예술국가학위, 에꼴 수페리에 데 보자르 그르노블
2002-2004 파리1 대학
1987-1990 정신운동성국가학위, 고등정신운동성연구원, 파리
[주요전시]
2018 여러 단체전, 앙시엥 에베셰, 우제스, 30700.
2017 전사 자히드, 서적 전시, 국제관계센터, 몽펠리에.
2016 전사 자히드, 서적 전시, 현대미술 여정, 오픈 스페이스, 몽펠리에.
2013 외국인과의 대화, 베르제 호텔, 브뤼셀, 벨기에.
2012 개인전, 갤러리 네그포스, 포토로프트, 님므 (30)
외 다수
[FORMATION]
2007-2008 Dîplome National Supérieur d’Expression Plastique, Ecole Supé rieure des Beaux-Arts de Montpellier
2005-2006 Diplôme National d’Arts Plastiques, Eco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Grenoble
2002-2004 DEUG arts plastique, l’Université Paris I, Panthéon Sorbonne.
1987-1990 Diplôme d’Etat de psychomotricité, Institut Supérieur de Psychomotricité, Paris
[EXPOSITIONS]
2018 Pluri’elles Exposition collective, Ancien Évêché, Uzès, 30700.
2017 Jahide le combatif, Présentation du livre, Maison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Montpellier
2016 Jahide le combatif, Présentation du livre, Parcours Art contemporain, open spaces, Montpellier
2013 Conversation with a stranger, Hôtel le Berger Bruxelles, Belgique
2012 Exposition personnelle, Galerie NegPos, Fotoloft, Nimes (30)
et autres.
La vendeuse de poissons (생선가게 주인)
impression numérique
variables de dimensions
2019
Le vendeur d’algues (미역 장수)
impression numérique
variables de dimensions
2019
Mombae#1
60x90cm, 2010
작가의 변
나는 정신운동 훈련자이자 예술작가이며, 그르노블과 몽펠리에 미술전문대학 학위를 가지고 있다.
임상의사라는 직업을 가지면서 예술적 접근을 개발한다. 이 접근에서 나의 항상적인 관심은 몸에 있다. 연출된 몸, 공간 속의 몸 등. 몸은 그 정태적, 동학적, 시간적으로는 물론 그 사회적 본질에서도 물음의 대상이다.
나는 특히 우리가 공간과 맺는 물리적 관계,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관계 및 사고의 정형화라는 위험에 관심이 많다.
나는 규범들을 꿰매고 뜯고 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는 그로부터 독특한 어떤 현존을 도출하기 위해서다. 이 현존에 정체성이 고착되어 초상화로 된다. 몸짓과 자세는 사건과 언어를 만들어낸다.
NOTE DE L'ARTISTE
Je suis psychomotricienne et artiste auteur, diplômée des Beaux-arts de Grenoble et de Montpellier.
En parallèle de mon travail de clinicienne, je développe une approche artistique dont la préoccupation constante est le corps. Corps mis en scène. Corps dans l’espace. Sujetsquestionnés dans leur essence statique, dynamique, temporelle mais aussi sociale.
Je porte une attention toute particulière à nos relations physiques avec l’espace, à notre rapport à l’identité et au risque de l’uniformisation de la pensée.
J’aime coudre et découdre les normes pour en dégager une présence singulière où l’identité s’ancre pour devenir portrait, et ou gestes et postures font événements et langage.
Dominique Kippelen 도미니끄 키플렌
[프로필]
조형예술석사, 스트라스부르그, 인문과학대학, 프랑스
[주요전시]
2018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설치 4-5,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2018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설치 3, 패서디나, 캘리포니아, 미국
2017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리오, 브라질
2017 도미니크 키플렌 개인전, MH갤러리 브뤼셀, 벨기에
2015 아티스트 레지던스 5개월, FAAP (Fondação Armando Alvares Penteado),
상파울로, 브라질
외 다수
[FORMATION]
Diplome: Maitrise d’Arts Plastiques, Université des Sciences Humaines, Strasbourg, FRANCE.
[EXPOSITIONS]
2018 «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 Installations 4-5, Los Angeles, CALIFORNIE, USA.
2018 «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 Installation 3, Pasadena, CALIFORNIE, USA.
2017 «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 Rio, BRESIL.
2017 Dominique Kippelen Solo Exhibition, MH Gallery Bruxelles, BELGIQUE.
2015 Residência Artistica, 5 mois, FAAP (Fondação Armando Alvares Penteado), São Paulo, BRESIL.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 Le proche, Masan
한 대도시의 지형학 - 가까운 사람들, 마산
Topografia de uma cidade grande : Pasadena, CA (USA)
한 대도시의 지형학 : 파사데나, 캘리포니아 (미국)
LA FORET DES ANCETRES (조상들의 숲)
PATRICIA MOREIRA 파트리시아 모레이라
[프로필]
문화예술 기획 및 경영자, 페스티벌 조직자, 예술감독
[주요경력]
2017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대학교 카르코바박물관 관장
2009 예술, 과학, 기술 축제 공동설립자, 큐레이터와 예술감독
2009 아르헨티나 카스타산미술관 큐레이터
2009 우루과이 EAC(Espaso Arte Contemporáne)현대미술관 큐레이터
2008 아르헨티나 팔레르모대학교 예술프로젝트 이벤트3 감독
아르헨티나 팔레르모대학교 디자인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문화운영워크샵 최고위과정 학장
2012/2015 EGGO아트페어 책임프로듀서, 아르헨티나 아트갤러리협회 주관
아르헨티나 아트갤러리협회 예술 문화프로그램 큐레이터
2012 브라질 상파울로 라틴아메리카기념재단 주관 전시 “With Passion” 큐레이터
2004/2011 아르헨티나 아트갤러리협회 아트페어 책임프로듀서
2011/2013 아르헨티나 비디오아트페스티벌 FIVA 총감독, 제작
[FORMATION]
Curator and cultural manager
[EXPOSITIONS ]
2017 Director of management and curatorship in Museo de la Cárcova/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Buenos Aires, Argentina.
2009 Co-founder, director and curator of FASE, Art, Science and Technology festival in Centro Cultural Recoleta, Buenos Aires, Argentina.
2009 Curator of FASE in Museo Castagnino Macro, Rosario, Argentina.
2009 Curator of FASE in EAC, Montevideo, Uruguay.
2008 Chair of Events III, Artistic Projects, in Universidad de Palermo,
Buenos Aires, Argentina.
2012/2015 Executive Producer of EGGO, Art Fair organized by the Argentine Association of Art Galleries.
Curator of the art and culture programme for AAGA, Buenos Aires,
Argentina.
2012 Curator of the exhibition “With Passion” organized by the Fundación
Memorial de América Latina,São Paulo, Brasil.
2004/2011 Executive Producer of Expotrastiendas, Art Fair organized by AAGA,
Buenos Aires, Argentina.
2011/2013 Director and Producer of FIVA, Festival of Video Art, Buenos Aires,
Argentina.
예술인들과 무용(살풀이) 시연
예술인과 무용(탱고) 시연
SANTI ZEGARRA 산티 제가라
[프로필]
1997-1998 멀티미디어 제작 전문가
상급예술연구원
1988-1989 파리1대학, 연극영화과 박사수료
1984-1988 파리10대학 문학석사 (Equivalence)
페루 리마대학교 언론정보학 학사
[주요경력]
2018 “De Armas, 최후의 따이노”, “무장한 예수의 유토피아와 드라마” 전시 중에서,
하바나 미술관, 쿠바
2012 “포르투칼 누나”, 리마극장 상연. 페루
“영원한 발레이오”, 런던대학교, 영국
2011 “Eternal Vallejo(영원한 발레이오)”, 리콜레타 센터,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10 “Financial Crisis(금융위기)”, 월드뱅크 전시, 워싱턴, 미국
“Eternal Vallejo(영원한 발레이오)”, 리마 카톨릭센타
2009 “The Sea of Darkness(어둠의 바다)”, 프랑스의 해, 브라질 상파울로 기념관
“Tropical Bla Bla(열대의 블라블라)”, 제 8회 하바나 비엔날레
[FORMATION]
1997-1998 Spécialiste de Production multimedia
Institut d’Etudes Supérieures des Arts
1988-1989 DEA Etudes Théâtrales et Cinématographiques Université Paris I.
1984-1988 Maîtrise-ès-lettres, Université Paris X (Equivalence).
Licence en Sciences de la Communication, Université de Lima, Pérou.
[EXPOSITIONS]
2018 «De Armas, le dernier Taïno», dans le cadre de l’exposition “Drama et
Utopie de Jesus de Armas, Musée de Beaux-Arts, La Havane
2012 «La Religieuse Portugaise», mise en scène, théâtre, Lima.
«Vallejo Eternel , University College of London.
2011 “Vallejo Eternel”, Centro Recoleta, Buenos Aires.
2010 “Crisis financière”, exposition Banque Mondiale, Washington.
“Vallejo Eternel”, Centre La Catolica, Lima.
2009 “La Mer des ténèbres” dans le cadre de l’Année de la France au Brésil,
Memorial de Sao Paolo.
“Bla Bla tropical”, 8e Biennale de La Havane.
<3세대> 비디오아트, 20' 2019-2020
나의 창작 비디오 이름은 ’3 세대’다. 한국 여성 하효선이 조국의 정치적 변동 속에서 자신이 거쳐 왔던 독특한 도정을 얘기한다. 그녀는 자신의 가족사를 얘기함으로써 한국의 일반 역사를 환기시킨다.
<3 GENERATIONS> Art Vidéo, 20' 2019-2020
Ma création vidéo s’intitule 3 Générations, donc Hou Sun Ha nous raconte son parcours singulier d’une femme coréenne engagée avec l’évolution politique de son pays. Elle évoque l’histoire familiale dans la grande Histoire de la Corée du Sud.
프로젝트의 기원
나는 페루 출신 프랑스 작가로서 파리에서 활동 중이다. 나는 리마대학교와 소르본느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나는 사진과 비디오 작가이자 영화감독으로서 세계 도처에서 예술작품을 창작하며, 어떤 의미에서는 나 자신을 탐구한다.
나는 아시아 대륙에 매료되어 있는데, 나의 증조모는 중국인이었기 때문인지 모른다. 내가 처음 중국을 방문했을 때 나는 북경의 주변인들에 관한 <천안문 광장>이라는 아트비디오를 만들었다. 이들은 이 상징적인 공간에서 하루 종일 배회한다. 이어서 <영광의 삶>이라는 아트비디오에서 필리핀계 젊은 여성 노동자들을 다루었다. 이들은 홍콩의 금융 중심지에 모여 고독을 떨쳐버린다.
ACC프로젝트의 리좀 예술인 레지던스를 관장하는 하효선 예술감독으로부터 초청을 받자말자 즉각 수락했다. 나로서는 미스터리하고 미지의 나라 한국을 발견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였기 때문이다.
에스빠스 리좀에 도착한 후 곧 창동이라는 구역을 발견했지만 거주 초기에는 명백한 게 아무 것도 없었다. 왜냐하면 나는 한국어를 전혀 모르고 이 구역의 사람들 대부분은 영어를 할 줄 몰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나는 길을 잃곤 했다. 이 도시의 모든 신호체계는 한국어로만 쓰여 있었다. 처음에는 내가 어디에 있는지조차 알 수 없었다.
나의 맨 먼저 하고자 한 것은 거리의 사람들과 완벽하게 녹아드는 것이었다. 나는 이 구역 안에 있는 대형 시장을 빈번하게 찾았다. 구글 번역기 덕분에 사람들과 조금씩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 내 생각에 어쩌면 그들은 내가 길을 잃었거나 도움이 필요한 처지에 있는 것으로 보았지 않나 싶다. 사람들은 내가 캄보디아나 베트남 사람이 아닌지 물었다. 재미있었다!
예술인 레지던스와 관련해 하효선 씨는 나에게 40주년을 맞은 마산의 부마민주항쟁에 관한 비디오 창작을 제안했다. 처음에 나는 전혀 자신이 없었다. 한국의 역사를 잘 모르는데다가 정치적인 성격이 뚜렷한 주제를 두고 피상적인 창작에 그치는 짓을 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하효선 씨에게 이 사건에 참여했던 한 인물과 접촉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그의 증언을 바탕으로 이 프로젝트의 줄거리를 창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며칠이 지나도록 기다리는 인물을 만나지 못했다. 이 레지던스에 같이 참가한 크리스틴 까두르는 하효선의 오랜 친구인데 그녀가 나에게 말했다. “당신이 찾는 인물이 바로 당신 앞에 있어요. 당신은 모르겠지만 효선은 1979년 항쟁에 참가했어요.”
그 순간 나는 내가 하효선 씨를 리좀 레지던스의 대표로만 알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녀에게 나의 아트비디오 프로젝트의 주인공이 되어달라고 부탁했던 것이다.
우리의 작업방법은 일련의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우리 사이에 신뢰 관계를 확립해야 했다. 나는 열정적이면서 영원한 한국의 가치들에 충직한 한 여성을 발견했다.
이 예술 창작의 주제는 다름 아닌 자국의 현대사에서 한 여성이 지나온 도정이다.
L’origine du projet
Je suis un artiste franco-péruvien, basé à Paris. J’ai réalisé mes études à l’université de Lima et à l’université de la Sorbonne. Photographe, vidéaste et cinéaste, je crée des œuvres artistiques partout dans le monde et dans une certaine manière, je suis à la recherche de moi-même.
Par ailleurs, je suis fasciné par le continent asiatique, mon arrière-grand-mère était Chinoise. Dans ma première visite à l’Empire de Milieu, j’ai réalisé l’art vidéo Tianan men place sur les marginaux de Beijing, qui errent toute la journée dans cet espace symbolique. Puis dans The Glorious living révèle les jeunes femmes travailleuses d’origine philippine, qui se rassemblent dans la place financière hongkongaise pour oublier leur solitude.
Quand j’ai reçu l’invitation de la part de Hou Sun Ha, directrice de la Résidence artistique Rhizome, ACC Project, c’était une grande chance pour moi : découvrir la Corée du Sud, un pays mystérieux et inconnu à mes yeux. Je l’ai accepté immédiatement.
A mon arrivée à l’espace Rhizome, je découvrais le quartier Chang-dong. Cependant au début de mon séjour ce n’était pas évident, car mon handicap principal était la langue coréenne. La majorité des gens ne parlent pas l’anglais. En plus, j’étais égaré, toute la signalisation urbaine est en calligraphie coréenne, impossible de me repérer au début.
Ma priorité était de faire une immersion totale avec les gens de la rue. J’ai commencé à fréquenté le grand marché du quartier et petit à petit, je suis arrivé à communiquer avec les gens grâce à Google Translation. D’une certaine façon, je pense qu’ils me voyaient perdu et vulnérable. Ils me demandaient si j’étais cambodgien ou vietnamien. C’était amusant !
Dans le cadre de ma résidence artistique, Hou Sun Ha me proposait de faire une création vidéo sur le 40ème anniversaire du soulèvement démocratique de Masan. Au début, j’ai beaucoup douté, je ne connaissais pas assez l’histoire de la Corée du Sud. Je ne voulais pas faire une création superficielle sur un sujet éminemment politique.
Alors, j’ai demandé à Hou Sun Ha de me mettre en contact avec une personne qui avait participé dans cet événement. Je voulais recueillir son témoignage pour créer le fil rouge du projet. Les jours passaient sans rencontrer la personne attendue. L’artiste Christine Cadours est une amie de longue date de Hou Sun Ha. Elle m’a dit : « tu es en face de ton personnage et tu ne te rends pas compte, Sun a participé dans le soulèvement du 1979 ».
A ce moment-là, je me suis aperçu que je connaissais seulement la directrice de la Résidence Rhizome. Donc, je lui ai proposé de devenir le personnage principal de mon projet artistique.
Notre méthode de travail, c’était une série d’entretiens pour apprendre à nous connaitre. Il fallait établir une relation de confiance entre nous. Je découvrais une femme fascinante et engagée avec les valeurs de la Corée éternelle.
Voilà le sujet de cette création artistique, le parcours d’une femme coréenne dans l’histoire contemporaine de son pays.